2030엑스포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꿈이 결국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28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박람회기구(BIE) 제173차 총회에서 개최지 선정 투표가 진행되었는데요, 부산 29표, 사우디 119표, 이탈리아 17표를 획득했습니다. 그 내용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산의 유치 도전과 그 결말
부산은 28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박람회기구(BIE) 제173차 총회에서 개최지 선정 투표가 진행되었는데요, 부산은 29표를 얻는 데 그쳐, 119표를 얻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 밀려 유치에 실패했습니다.
3위 이탈리아 로마는 17표를 획득했고, 기권표는 없었습니다.
사우디는 투표 참여 165개국 중 3분의 2인 110표를 넘어선 119표를 얻어 결선 투표 없이 승리했습니다.
전략과 결과: 한국의 기대와 현실
우리나라는 1차 투표에서 사우디를 저지하려 했으나, 사우디의 강력한 자본력 앞에 무위로 돌아갔습니다.
정부는 투표 직전까지 역전의 기대감을 품었으나, 예상보다 큰 표 차이로 패배하며 안타까움과 아쉬움을 표했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국민의 열화와 같은 기대에 미치지 못해 송구스럽고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국민 여러분의 지원과 성원에 충분히 응답하지 못해 대단히 죄송하다"고 말했습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부산시민들의 꿈이 무산되어 마음이 무겁다"고 전했습니다.
사우디의 강력한 전략과 영향력
사우디는 종교적, 지역적 기반과 '오일머니'를 앞세워 확고한 지지를 받았으며,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과 인권 문제 등 부정적인 여론도 역부족이었습니다.
불안정한 세계정세로 개발도상국들의 표는 모두 사우디로 갔다고 보고 있습니다.
영업을 하려면 타켓팅을 잘해야 할텐데, 우리의 외교력의 차이를 여실히 보여주었죠.
2035엑스포 부산세계박람회 도전?
정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한국을 지지해준 회원국에 감사를 표하고, 약속한 국제 협력 프로그램을 차질 없이 실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유치전 과정에서 쌓은 외교 네트워크를 계속 발전시켜 나간다는 방침입니다.
부산시는 이번 투표 결과는 아쉽지만, 2035년 엑스포 유치에 다시 한번 나서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